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종교2

클리퍼드 기어츠의 <문화의 해석> 제 4장 요약 “제 4장 문화체계로서의 종교” 요약 서론 클리퍼드 기어츠는 “문화”를 이렇게 정의한다. 그것은 상징으로 나타나는 역사적으로 전승된 의미의 유형, 즉 인간이 그것을 통하여 생활에 관한 지식과 태도를 서로 전달하고 영속화하고, 발전시키는 상징의 형태로 표현되는 전승된 개념의 체계를 뜻한다.(113) 이 장에서 기어츠는 위와 같은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배경으로, 문화체계로서의 종교에 대해 밝혀 적고자 한다. 기어츠가 포착한 문화체계로서의 종교는 아래와 같다. (1)작용하는 상징의 체계로, (2)인간에게 강력하고 널리 미치며, 오래 지속되는 분위기와 동기를 성립시키고, (3)일반적인 존재의 질서 개념을 형성하며, (4)그러한 개념에 사실성의 층을 씌워, (5)분위기와 동기가 특이하게 현실적인 것으로 보이게 한다.. 2021. 2. 9.
리차드 도킨스의 <만들어진 신(The God Delusion)> 그 신의 죽음과 이 종교의 나아갈 방향에 관한 대화 -리차드 도킨스의 『만들어진 신(The God Delusion)』 4장, 5장, 6장을 중심으로- 1. 들어가며 존 레논이 1971년에 냈던 솔로 앨범에 수록된 “Imagine”은 아름다운 멜로디와 상반되는 시대에 대한 명확한 비판의 메시지와 평화를 향한 희망이 공존하는 곡이다. 특히, 천국과 지옥이 없는 세상, 종교마저도 없는 세상을 상상해보라는 내용은 종교가 가지고 있는 해악성을 비판하고 있다. 몇몇의 기독교인들이 이 곡을 부를 때, 종교가 없는 상상이 아니라, “단 하나의 종교”(only one religion)으로 개사해서 불렀다. 존 레논이 상상하는 세계에서 종교가 있어서는 세계가 하나가 될 수 없고, 종교는 없어져야만 하는 것일까? 존 레논이.. 2021. 1. 13.
반응형